비:주류

2023

술 짝.

그냥 들기에는 무겁고, 들어 올려 균형이 맞춰지는 순간 가벼워진다.
삶의 무게는 어떤가.

나는 복잡하게 얽힌 여러 상황과 사건, 조건, 제한, 이유, 이야기들로 짓눌리지 않기 위해 필사적으로 그 모든 것들의 균형을 맞추어 삶의 무게를 감당한다.

이것은 술 짝의 물리적 균형을 맞추는 것처럼 다분히 의도적으로 삶의 균형을 맞추려는 여러 시도와 노력으로서의 감당이다.

그렇다면 왜 나는 무게를 지려고 하는가.
들지 않으면 그만 아닌가.
왜 들지 않을 수 없게 되었는가.
나는 왜 드는 것과 동시에 덜어내고 싶은 것인가.
드는 것은 균형을 잡기 위함인가.
균형을 잡는 방법에는 드는 것만이 전부인가.
나는 왜 무거운 무게를 지려 하는가.
나는 왜 무거운 무게를 가져와 등에 메고, 균형을 잡는 것인가.
나는 왜 그 무게 자체를 가볍게 하지 않았는가.
나는 왜 그 무거운 짐을 감당하려 했는가.

그러니까,
나는 왜 이 술 짝을 기어이 들고자 했는가.
Tendance minoritaire 2023

Caisse à bouteille.

Il est lourd à soulever, mais il devient léger dès qu’on le soulève et atteint l'équilibre.
Quel est le poids de la vie ?

Je supporte le poids de la vie en essayant désespérément d'équilibrer toutes les situations, événements, conditions, limitations, raisons et histoires compliquées afin de ne pas être alourdi.

Il s'agit d'un processus composé de nombreuses tentatives et d'efforts visant à équilibrer intentionnellement la vie, tout comme l'équilibre physique d'un partenaire qui boit.

Alors pourquoi est-ce que j'essaie de porter du poids ?
N'est-ce pas suffisant si je ne le soulève pas ?
Pourquoi n'avais-je pas d'autre choix que de le soulever ?
Pourquoi est-ce que je veux soulever et perdre du poids en même temps ?
Est-ce que soulever des objets permet de maintenir l'équilibre ?
Est-ce que soulever le poids est le seul moyen d’atteindre l’équilibre ?
Pourquoi est-ce que je veux porter des poids lourds ?
Pourquoi est-ce que j'apporte des poids lourds, que je les porte sur mon dos et que je les équilibre ?
Pourquoi n'ai-je pas allégé le poids lui-même ?
Pourquoi ai-je essayé de supporter ce lourd fardeau ?

donc,
Pourquoi avais-je envie de prendre cette bouteille d'alcool ?
Fringe
2023

Bottle crate.

It is heavy to lift, but it becomes light as soon as you lift it and achieve balance.
What is the weight of life?

I carry the weight of life desperately trying to balance all the situations, events, conditions, limitations, reasons, and complicated stories so as not to be weighed down.

It is a process of many attempts and efforts to intentionally balance life, much like the physical balance of a drinking partner.

So why am I trying to carry weight?
Isn't it enough if I don't raise it?
Why did I have no choice but to lift it?
Why do I want to lift and lose weight at the same time?
Does lifting help you maintain balance?
Is lifting the weight the only way to achieve balance?
Why do I want to carry heavy weights?
Why do I bring heavy weights and carry them on my back and balance them?
Why didn't I reduce the weight itself?
Why did I try to carry this heavy burden?

SO,
Why did I want to take this bottle of alcohol?



전시 제목 <<비:주류>>는 가운데 쌍점(콜론)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비주류(非主流)로 읽힌다. 그런데 사진 속에 첩첩이 술 운반상자들이 등장하면서 주류가 술의 종류를 뜻하는 주류(酒類)가 아닌가고 고개가 갸웃해진다. 주류 앞에 비(非)가 서니, 이제는 다시 주류가 아니라는 의미로 바뀌다가 쌍점을 의식하는 순간 비(非)는 주류와 등가를 이루는 알 수 없는 무엇으로 바뀐다.

프랑스의 예술학교(Haute école des arts du rhin)에서 순수미술을 전공하고, 마르세유와 대전에서 3번의 개인전을 열었으나 아직 국내에 잘 알려지지 않았다는 점에서 작가 자신도 ‘비주류’다.

작업노트에는, 제일 먼저 ‘술 짝’이라는 단어가 등장한다. 술을 운반하기 쉽게 담아 둔 주류상자를 일컫는 주류 운반업계 현장의 말이다. 술 짝은, 마치 관용어로 쓰일 때의 짐짝을 연상시킨다. 방해되어서 덜어버리고 싶은 대상이다. 그러나 그럴 수 없다. 작가에게 술 짝을 나르는 일은, 예술활동을 지속하기 위해서 병행해야만 하는 생업활동이기 때문이다.

김기훈의 <<비:주류>>는 ‘예술적 노동과 경제적 노동 사이의 균형은 가능한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한 사진 시리즈다. 작가는 지난 1여 년간 주 4일 고용조건으로 주류 유통업에 종사하며, 나머지 3일은 작업과 기획 등의 예술 활동을 해왔다.

“처음에는 시간과 에너지를 잘 분배하면 될 문제라고 생각했습니다. 정신노동과 육체노동의 안배도 적절해 보였고요. 하지만 둘 사이에서 균형을 잡기란 쉽지 않았습니다. 노동의 강도는 너무 강했고, 육체적 피로 때문에 머리 쓰는 일조차 벅찼어요.”

균형을 찾기보다 예술 활동과 노동의 균형이 어긋나는 지점을 관찰하기 시작한 것이 그때부터다. 무거운 술 짝들을 등에 지고 옮기다가 손과 팔, 다리에 생긴 상처와 그 흔적을 폴라로이드 카메라로 촬영했다. 그것이 <<비:주류>>의 일부분인 <영광>이다.

<주4일제>에는 차곡차곡 쌓인 술 짝 너머로 먼 풍경을 바라보는 작가의 시선이 담겨있다. 희미한 근거리의 풍경과 선명한 먼 곳의 풍경이 예술과 생업의 관계처럼 대척을 이룬다.

유일한 흑백사진인 <누가 웅덩이에 자갈을 채웠는가>는 주류 유통회사 입구의 포장도로와 비포장도로의 경계를 찍은 것이다. 작가에게 이곳은 예술가와 주류 유통업자 사이를 오가는 통로이자 관문이다.

배경을 알기 전까지 언뜻 밋밋하고 고요해 보이는 사진들은, 추상적인 개념이 아니라 작가 자신이 처한 리얼리티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평론가 이슬비의 표현대로라면, “피 냄새, 땀 냄새, 살냄새가 물씬 배어 있”는 것이다. 단순히 자신의 노동을 작품의 소재나 모티프로 사용한 것이 아니라 작업의 문제의식으로 만들어 사유하고 공론화한다.

글 사진위주 류가헌